라임병 증상, 어떻게 나타날까요?
최근 할리우드 유명 가수, 모델이 걸렸다는 라임병! 라임병은 제2의 에이즈(AIDS)로 알려졌는데요. 병이 악화되면서 여러 신체 증상이 동반되어 계속 일을 쉴 수밖에 없었다고 하는데요. 라임병이 심해지면 정신과 질환이 생길 수 있고, 심해지면 자살 또는 살인까지 유발할 수 있어서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라임병이란 개념을 먼저 알아본 후, 단계별로 알아보는 라임병 증상과 라임병 치료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라임병이란?
라임병 원인
라임병이란 진드기가 옮기는 세균성 감염증입니다. 사람이 진드기에 물려서 보렐리아균이 우리 몸에 침입하면 여러 기관에 병을 일으키는데요. 제2의 에이즈(AIDS)라고 불리기도 하는 라임병은 숲, 덤불, 초원 등에 사는 진드기에 감염되는 것이 원인입니다.
라임병이란 명칭은 이 병이 처음 발견된 미국 코네티컷주에 있는 도시 ‘올드라임’에서 따왔습니다. 일반적으로 날씨가 따뜻할 때 유행하는 라임병은 주로 동물(사슴, 설치류 등)의 몸에 붙어다니는 진드기에 물려서 걸립니다. 상대적으로 우리나라보다 유럽, 북미지역에서 흔한 라임병이지만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첫 환자가 발생했다고 하여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라임병 증상 3단계
라임병 증상은 사람마다 형태와 정도가 다양해서 바로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아래에서 라임병 증상을 크게 3단계로 나눠서 살펴보겠습니다.
❶ 초기 단계
진드기에게 물린 부위가 2~14일 후에 빨갛게 발진이 생깁니다. 특히 가장자리는 붉고 가운데는 연한 모습을 보이는 이동홍반 형태고, 피부는 붉은 색을 띠거나 피부가 튀어오른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❷ 다른 곳으로 퍼짐
수일, 수주 후에는 원인균이 혈액을 타고 몸의 여러 곳으로 퍼집니다. 피부 병변의 개수가 늘어나면서 다음과 같은 라임병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심한 두통
- 목이 뻣뻣해짐
- 발열
- 오한
- 피곤함
- 근육통
- 관절통
- 인후통
- 마른 기침
- 결막염
- 고환 부종
- 전신의 림프절 커짐
- 비장 커짐
- 뇌염 또는 뇌수막염 (신경계 침범 시)
- 부정맥 (심장 침범 시)
원인균이 관절, 힘줄, 근육, 뼈를 이동하면 근육통, 관절통 등의 라임병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부분 관절이 붓지 않고 1~2개의 관절을 한번에 감염시킵니다. 라임병 증상으로 인한 피로는 계속 지속되는데 시간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면서 나타납니다. 또한 신경계를 침범하면 뇌염, 뇌수막염이 발생할 수 있고 심장을 침범하면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❸ 후기
후기에 들어서며 근골격계 증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진드기 감염 후 수 개월이 지나면 무릎 관절처럼 큰 관절에서 관절염이 발생합니다. 아래에서 후기의 라임병 증상을 참고하세요.
- 관절염
- 척수근 통증
- 기억 장애
- 기분 장애
- 수면 장애
*척수근 : 더부신경(11번째 머릿골 신경으로 운동을 담당함) 뿌리 중 척수에서 일어나는 부분
라임병 치료법 및 항생제 종류
라임병은 초기에 항생제로 치료하면 대부분 완전히 회복합니다. 그러나 초기에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형이 되어 치료하기 어려워집니다. 완치되지 않고 관절염, 심장 이상, 신경계 장애 등이 일어날 수 있죠. 즉, 초기 증상에 유의해서 신속히 병원에 가는 게 중요합니다.
아래에서 라임병 치료법에 쓰이는 항생제 종류와 투여량을 참고하세요.
항생제 종류 | 용량 | 횟수 |
---|---|---|
독시사이클린 | 200mg / 일 | 2회 / 일 |
아목시실린 | 1.5g / 일 | 3회 / 일 |
세푸록심 | 1g / 일 | 2회 / 일 |
이동성 홍반이 나타나는 초기 라임병 단계에서는 항생제를 10~21일 정도 먹는 약으로 투여합니다. 다만 8세 이하, 임신 또는 수유 중인 사람은 독시사이클린 투여를 피해야 합니다.
라임병 치료 후에도 45% 정도의 환자에게 증상이 지속될 수 있지만, 적정량의 항생제를 투여했다면 추가 투여할 필요는 없습니다. 약물 투여 후 신경학적 증상이 없는 관절염이 발생하면 4주간 항생제 치료를 하고,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관절염이 발생하거나 약을 먹어도 증상이 지속되면 2~4주간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단, 어떤 약제를 사용해도 라임병 치료에 실패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경우엔 결국 재치료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라임병 증상, 라임병 치료법 등을 알아봤습니다.
라임병을 예방하려면 무엇보다 진드기에 물리지 않게 조심하는 게 최선입니다. 그렇다고 진드기가 있는 곳을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으니 최대한 나무, 덤불이 많은 곳에서 야외 활동을 할 땐 진드기가 피부에 닿지 않도록 긴 팔, 긴 바지의 옷을 입고 바지를 양말 안에 넣어서 진드기가 옷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막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참고하면 좋은 글
- 쯔쯔가무시 사망률 및 대표 증상 9가지 (ft. 쯔쯔가무시 뜻)
- 콜린성 두드러기 치료법 4가지 및 증상 (+좋은 음식)
- 루푸스 초기증상 6가지 및 치료 방법 (ft. 생존율)
- 얼굴이 간지러운 이유 8가지 및 관리법
- 봉와직염 증상 12단계 및 치료법 (a.k.a 화농성 염증)